2025년 농업정책자금은 금리 1%~2.5%, 최대 30억 원까지 지원되는 절호의 기회입니다. 하지만 신청 대상과 방법을 몰라 소중한 자금 지원 기회를 놓치는 농가가 많습니다.
위 버튼 누르시면, 페이지로 이동
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👆️
부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👆️
대구광역시 농업기술센터👆️
인천광역시 농업기술센터👆️
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👆️
대전광역시 농업기술센터👆️
울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👆️
세종특별자치시 농업기술센터👆️
경기도 농업기술원👆️
강원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👆️
충청북도 농업기술원👆️
충청남도 농업기술원👆️
전북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👆️
전라남도 농업기술원👆️
경상북도 농업기술원👆️
경상남도 농업기술원👆️
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👆️
1. 2025 농업정책자금 지원 내용
농축산경영자금
- 지원 대상: 경종, 과수, 원예특작, 소규모 축산농가, 재해 농가 등
- 대출 한도: 경영체당 최대 1,000만 원
- 대출 기간: 1년 + 최대 2회 연장 가능 (총 3년)
- 금리: 연 2.5% 고정 또는 6개월 변동금리
- 신청 방법: 사업장 소재지 지역 농·축협 직접 방문
농업경영회생자금
- 지원 대상: 자연재해, 가축질병, 농산물 가격 급락 등으로 경영 위기에 처한 농민 및 농업법인
- 대출 한도: 농민 최대 20억 원, 농업법인 최대 30억 원
- 대출 기간: 5년 거치 + 7년 분할 상환 (총 12년)
- 금리: 연 1% 고정금리
- 신청 방법: 농협은행 시·군지부 또는 지역 농·축협 방문
구분 | 지원 내용 | 금리 | 대출 한도 | 대출 기간 |
농축산경영자금 | 영농 준비비 지원 | 연 2.5% | 1,000만 원 | 1+2년 연장 |
농업경영회생자금 | 경영 위기 대환자금 | 연 1% | 농민 20억/법인 30억 | 12년 (5+7) |
2. 신청 대상 및 방법
- 신청 대상: 농업경영체 등록 농민, 귀농인, 청년농, 재해 피해 농가, 경영 위기 농업법인
- 제외 대상: 농협·수협·산림조합 임직원, 공공기관 정규직, 공무원, 교직원 등
- 신청 방법: 농축산경영자금은 지역 농·축협 방문, 농업경영회생자금은 농협은행 시·군지부 또는 지역 농·축협 방문
3. 제출 서류
- 공통 서류: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,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(65세 이하)
- 추가 서류: 영농확인자료(필요 시), 소요경영비 심사자료(600만 원 초과 대출 시), 농업용 대출 증빙서류(회생자금 신청 시)
4. 신청 기간
- 농축산경영자금: 연중 수시 신청 가능
- 농업경영회생자금: 특별재난지역 선포일로부터 1년 이내 신청
- 청년창업농 정책자금 이차보전 사업: 2025년 1월 9일 ~ 2월 5일
결론
2025년 농업정책자금은 금리 인하, 대출 한도 확대, 절차 간소화로 농민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. 지원 대상과 제출 서류를 빠르게 준비하고, 가까운 농협을 통해 신청해 올해 영농 준비를 탄탄히 다지세요. 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수억 원의 혜택을 놓칠 수 있습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