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을 준비하는 청년과 기업을 위한 필수 가이드! 올해부터 달라진 신청 조건과 절차, 중도 해지 시 유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 신청을 고려하고 있다면 이 글을 놓치지 마세요.
300만원 지원금 놓치지 마세요
1. 2025 청년내일채움공제란?
청년내일채움공제는 정부, 기업, 청년이 함께 적립금을 조성하여 청년의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제도입니다. 2년 근속 시 최대 1,200만 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.
📌 신청 대상
- 청년: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중소기업 정규직 근로자
- 기업: 5인 이상 중소·중견기업 (일부 업종 제외)
- 가입 기한: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수
👉 신청 절차
- 워크넷에서 ‘청년공제’ 참여 신청
- 운영기관의 심사 후 승인
- 청년공제 청약 누리집에서 최종 청약 신청
2. 2025 청년내일채움공제 적립 및 지급 구조
청년내일채움공제의 적립 구조는 청년, 기업, 정부가 각각 일정 금액을 납입하는 방식입니다.
구성 | 적립 금액 (2년 기준) |
청년 본인 부담금 | 300만 원 (매월 12.5만 원 적립) |
기업 지원금 | 300만 원 |
정부 지원금 | 600만 원 |
총 지급 금액 | 1,200만 원 |
3. 중도 해지 시 받을 수 있는 금액
신청 후 중도 퇴사 또는 해지할 경우, 환급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해지 사유 | 청년 납입금 (본인 부담) | 기업 지원금 | 정부 지원금 |
본인 자진 퇴사 | 100% 환급 | 미지급 | 미지급 |
기업의 폐업·도산 | 100% 환급 | 미지급 | 일부 지급 가능 |
기업의 부당해고 | 100% 환급 | 미지급 | 100% 지급 가능 |
부정 가입 적발 | 100% 미환급 | 100% 미환급 | 100% 미환급 |
💡 주의할 점
- 본인 사직 시 정부 및 기업 지원금 지급 불가
- 부당해고나 회사 도산의 경우 일부 정부 지원금 지급 가능
- 부정 가입이 적발되면 본인 납입금도 전액 몰수
4. 2025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시 유의사항
✅ 신청 전 확인해야 할 사항
- 정규직 입사 후 6개월 이내 신청 필수
-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12개월 초과 시 가입 불가
- 기업이 지원금을 적립하지 않을 경우 해지될 위험 있음
✅ 유지 중 유의할 점
- 2년간 근속해야 만기금 1,200만 원 지급
- 이직 시 기존 내일채움공제 연계 불가 (새로 가입 필요)
- 급여 인상으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 존재
결론
2025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좋은 제도이지만, 신청 조건과 해지 시 불이익을 충분히 숙지해야 합니다. 특히 퇴사 계획이 있다면 정부 및 기업 지원금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하세요. 신청을 고려 중이라면 가입 조건과 해지 시 받을 금액을 철저히 확인 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