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, 농업인의 소득 안정을 위한 기본형 공익직불금의 면적직불금 지급 단가가 평균 5% 인상되었습니다. 또한, 친환경축산직불금의 지급 단가와 한도도 상향 조정되었습니다. 아래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2025년 직불금 금액 및 지급 시기 안내
1. 기본형 공익직불금
- 면적직불금 단가 인상: 2024년 ha당 100만~205만 원 → 2025년 ha당 136만~215만 원
- 지급 시기: 2025년 11월부터 순차 지급 예정
2. 친환경축산직불금
- 지급 단가 대폭 인상 및 유기 지속 직불금 신설
품목 | 2024년 지급 단가 | 2025년 지급 단가 |
한우 | 17만 원/마리 | 37만 원/마리 |
우유 | 50원/리터 | 122원/리터 |
계란 | 10원/개 | 20원/개 |
- 농가당 지급 한도: 3,000만 원 → 5,000만 원
- 유기 지속 직불금: 유기 인증 5년 이상 농가 대상, 기존 단가의 50% 추가 지원
3. 2025 직불금 종류별 지원 금액 요약
직불금 종류 | 지원 대상 | 지원 금액 |
소농직불금 | 경지 면적 0.5ha 이하 농가 | 연 120만 원 |
면적직불금 | 농지 면적 0.5ha 이상 경작 농가 | ha당 136~215만 원 |
경관보전직불금 | 경관 작물 재배 농가 | ha당 200만 원 |
친환경농업직불금 | 유기농·무농약 인증 농가 | ha당 140~250만 원 |
논 이모작 직불금 | 논에서 이모작(밀·보리 등) 농가 | ha당 50만 원 |
농업재해 직불금 | 자연재해 피해 농가 | 피해 정도에 따라 차등 지급 |
4. 2025년 직불금 지급일 및 일정
- 기본형 공익직불금: 2025년 11월부터 순차 지급
- 친환경축산직불금: 2025년 10월 말부터 지급
- 임업·산림 공익직불금: 2025년 12월 지급 예정
5. 신청 방법 및 기간
- 비대면 신청: 2025년 2월 1일(토) ~ 2월 28일(금)
- 방문 신청: 2025년 3월 4일(화) ~ 5월 30일(금)
- 신청 장소: 농지 소재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6. 유의사항
- 의무교육 이수 필수: 미이수 시 지급 불가
- 등록 계좌 확인: 지급은 신청 계좌로 자동 입금
- 서류 누락 주의: 미비 서류 시 지급 지연 가능
- 농업경영체 등록 확인: 사전 점검 필요
- 거짓·중복 신청 금지: 적발 시 환수 및 제한
결론
2025년 직불금은 금액이 인상되고 지원 항목도 다양해졌습니다. 신청 기한을 놓치지 말고 반드시 의무교육까지 이수하여 수령 조건을 완벽히 충족하시기 바랍니다.